-
[리눅스 개념] RPM과 YUM 차이[SERVER]/Linux 개념 2020. 6. 29. 14:31
1. RPM(Redhat Package Manager) : RPM과 YUM은 리눅스의 패키지 인스톨 프로그램이자 인스톨 파일
리눅스에서도 2가지로 나누어 짐
RPM은 리눅스의 setup.exe와 비슷하게 프로그램을 설치 한 후 바로 실행 확장명은 *.rpm이며 이를 패키지라고 부름
RPM은 패키지 인스톨을 하기 위해선 그 패키지의 필요 요소를 전부 따로 다운해야 한다.(패키지 디펜던시)
원래 RPM은 레드햇 회사가 만든 리눅스에서만 쓸 수 있는 패키지 인스톨.
패키지가 있는 CD를 넣고 RPM으로 돌리는 방식을 사용하는게 다수
*파일의 의존성 문제로 최근에는 ‘yum’과 같은 더 개선된 형태의 설치 명령어를 사용한다.
하지만 간혹 제공된 하나의 패키지만 설치/제거 해야 하거나 이미 설치된 패키지의 정보를 확인하는 등의 상황에 종종 쓰인다.
1-1. RPM 단점
리눅스는 파일의 '의존성'이 매우 중요하다.
A파일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B파일이 무조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를 'A파일은 B파일에 의존적' 이라고 한다. RPM 명령어는 의존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인 설치가 안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의존성이 있는 패키지들을 하나하나 순서대로 설치해 주면 되긴 하지만 이는 매우 귀찮다.
CentOS 리눅스에서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결하고, 설치파일 조차도 필요없게 만들어준 명령어가 'yum' 이다.
다음번 포스팅에서 'yum'에 대한 사용법과 명령어 옵션들에 대해 알아보겠다.
2. YUM(yellodog Updater Modified)
RPM 명령의 패키지 의존성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
인터넷을 통해서 필요한 파일을 저장소에서 자동으로 모두 다운로드 해서 설치하는 방식
YUM은 외부 레파지토리 서버랑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RPM은 의존성이 중요하다. 패키지 파일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 전부 갖추어져야 한다.
하지만은 YUM은 구성 요소들은 웹에서 다운받아와서 알아서 설치를 해준다.
'[SERVER] > Linux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개념] VirtualBox, Parallers 고정 아이피 설정 방법 (0) 2020.07.02 [리눅스 개념] 리눅스 minimal 설치시 네트워크 설정 (0) 2020.06.29 [리눅스 개념] 디스크 용량 확장방법 (0) 2020.04.28 [리눅스 개념] 화면 잠금 및 절전모드 해제하기 (0) 2020.04.17 [리눅스 개념] 리눅스 한영키 설정방법 (0) 2020.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