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 개념] VMware에 있는 서버를 외부에서 ssh로 접속해보자[SERVER]/Linux 개념 2020. 7. 2. 23:43
VMware에 있는 서버 접속에 대한 여러 글이 있으나 각자 방법도 달랐고 필자의 경우 모두 안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필자가 해결한 방법을 적고자한다.
VMware를 포함한 다른 VM 프로그램 모두 방법이 동일하리라 생각된다.
우선 공유기에서 할당해준 사설 아이피를 받아서 VMware에 설치해준 리눅스에 고정 아이피를 설정해줘야 하므로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 어댑터를 Bridged로 설정해준다.
고정 아이피 설정 방법은 이전에 포스팅했으므로 아래 방법을 참고하도록하자.
https://seoulsense.net/60?category=393348
[리눅스 개념] VirtualBox, Parallers 고정 아이피 설정 방법
VM에 고정 아이피 설정 방법은 처음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면 다소 어려울 수 있다. 우선 고정 아이피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자. A라는 호스트가 있고 B라는 호스트가 있다. 서로 ��
seoulsense.net
고정 아이피까지 설정을 해줬다면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을 사용하여 공인아이피 : 포트번호로 접속시 포워딩하여 VMware에 있는 서버로 붙게 해줘야 한다.
아이피 타임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을 해주었다.
고로 필자가 사용하는 맥북에 터미널에서 ssh [사용자 아이디]@[공인 아이피] -p [12345(외부 포트)]로 접속을 시도하면 포트포워딩으로 인해 VMware에 있는 고정 아이피 서버 192.168.0.7에 22포트에 붙어서 연결이 되는 구조이다.
22포트는 ssh 포트이므로 22를 입력해야 한다. 참고로 해당 포트 번호는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변경을 원할 경우 변경하는 방법을 검색한 후 변경을 시도하면 될 것이다.
위와 같이 포트포워딩을 해줬다면 IpTime에서 저장을 한 후 다른 기기에서 접속을 한다.
필자의 경우 데스크탑은 윈도우를 노트북은 맥북을 사용한다.
맥북에서 ssh를 사용하여 접속을 시도해보도록하겠다.
다음과 같이 맥북에서 접속을 시도하면 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sh test@123.123.123.123 -p 12345
'[SERVER] > Linux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개념] curl과 wget을 이용하여 웹로직 HTTP Rest API를 받아오자(jq 사용) (0) 2020.07.16 [리눅스 개념] 특정 포트에 접속이 안된다면 리눅스 방화벽을 확인해보자. (0) 2020.07.03 [리눅스 개념] VirtualBox, Parallers 고정 아이피 설정 방법 (0) 2020.07.02 [리눅스 개념] 리눅스 minimal 설치시 네트워크 설정 (0) 2020.06.29 [리눅스 개념] RPM과 YUM 차이 (0) 2020.06.29